소금은 최고의 항암제이다 .
<소금이 암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논리>
의학계가 저염식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소금에 대하여 너무 많은 오해가 있다.
소금이 고혈압을 만든다거나 암을 유발한다는 등의 내용이다.
그런데 소금의 유해성은 부정확한 역학조사나 실체가 없는 주장일 뿐이다. 실험결과나 논리가 없다.
일부 실험도 잘못된 실험에 기인한다.
과연 소금이 암을 유발하는 것일까?
소금의 특성을 통해 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첫 번째, 소금은 물을 많이 섭취하게 하고, 보유하게 한다.
우리 몸은 0.9%의 전해질을 갖고 있다.
몸속에 염분이 많을수록 많은 물을 보유하게 된다는 뜻이다.
물을 많이 섭취하면 각종 암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특히 100억 분의 1로 미분화된 양자수가 흡수가 빨라 아주 좋음)
물은 산소와 영양분을 운반하는 일을 하며 신장을 통해 노폐물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인체에 물이 부족하면 결석을 비롯하여 각종 암에 걸린다고 kbs 생로병사의 비밀(물 편)은 소개한다.
미국의 프레스허친슨 암 연구센터에서 238명을 대상으로 물 섭취량과 대장암과의 관계를 연구한바 물을 하루 4컵 이상 마시는 사람은 1컵을 마시는 사람보다 대장암 발생률이 40%에 불과했다.
kbs방송에서 암을 비롯한 각종 난치병을 치료한다는 프랑스 루르드 샘물을 분석해 본결과 순수한 물이었다.
물은 암을 예방, 치료하는 기능이 탁월하다.
물을 충분히 섭취해 주면 암이 예방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혈액을 맑게 하여 세포에 산소전달을 용이하게 해 주기 때문이다.
소금을 섭취하면 바로 물을 충분히 섭취하고 보유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일 소금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고 물만 많이 섭취한다면 전해질 균형이 깨져(농도가 낮아져) 인체는 전해질 균형을 맞추기 위해 물을 빠른 시간 내에 몸 밖으로 내보낸다.
물을 빨리 잃는다는 것이다. 반드시 소금이 있어야 물을 빼앗기지 않는 것이다.
물은 산소(적혈구)를 전달해 주고 혈액이 탁해짐을 방지하고 혈류를 개선하여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해 준다. 이것이 물을 많이 섭취하면 암을 예방, 치료되는 원리다.
(※텀블러에서 만들어진 양자수는 용존산소가 풍부함.)
두 번째, 소금은 지방을 흡착하여 배설한다.
소금은 지방을 흡착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소금을 섭취하면 체내 지방을 흡착하여 땀이나 소변으로 염분이 나올 때 함께 배출한다.
수육을 할 때 된장을 넣고 삶는 이유도 된장 속의 소금 성분이 지방과 중금속을 빨아내는 효과를 이용하는 것이다.
고기를 재울 때도 소금에 재우면 지방이 잘 빠져나온다.
요리사들이 요리를 할 때 고기나 생선의 기름을 제거할 때 소금을 써서 지방을 제거한다.
소금이 지방을 분해하고 흡착하는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는 인체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mbc가 2011,01,11 방영한 2008년 상파울루 의대 니칸다케네 교수팀이 고혈압환자에게 소금을 권장량 이하(3g)로 섭취했더니 지방과 지단백질이 혈관에 침착하여 고지혈증을 일으킨다고 보고한 바 있다.
또 소금물을 섭취한 실험군에서 일반 물만 섭취한 실험군에 비해 중성지질이 훨씬 낮아진 것을 밝혀냈다.
소금의 지방흡착 배설기능을 활용한 것이다.
소금이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제거하여 비만을 해소하는 실험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선문대학교 자연과학대학에서 김치와 체중감량에 대하여 4주간 실험한 결과, 김치 추출물을 먹인 쥐는 일반사료를 먹인 쥐보다 체중이 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복부지방의 양은 무려 30% 이상 감소된 결과를 보였다.
김치 속의 소금의 역할이다.
동덕여대 비만과학대학원에서 20대 여성 3명에게 김치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평균 6~7kg의 체중감량 효과를 보였다.
또 MBC가 비만환자 4명에게 1개월 동안 전통발효음식(김치, 된장 위주)을 섭취하게 한 결과 6~7kg의 체중감소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그리고 혈구들을 관찰해 보니 혈구들의 뭉침이 없어지는 큰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비만개선 효과는 된장 김치에 들어 있는 양질의 소금의 지방분해 배설기능 때문이다. 비만이 억제되면 혈액순환이 원활해져 산소전달이 용이해진다.
결과적으로 세포의 산소결핍현상을 해소하여 암의 유발을 막는다.
세 번째. 소금은 중금속을 배출한다.
2008년까지 국내산 천일염에는 중금속이 들어 있다며 절임용에만 허용하고 김치 된장 등의 식품에 사용을 금지해 온 적이 있었다.
정제되지 않은 소금에는 보통의 경우 수은, 납, 카드뮴 등 80여 가지의 중금속이 들어 있다. 소금에 중금속이 들어 있다는 것은 곧 중금속을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다는 사실의 반증이다.
물론 중금속이 들어있는 소금은 인체에 해롭다.
그러나 중금속을 뺀 소금을 섭취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중금속을 뺀 소금은 다시 중금속을 흡착하는 에너지가 생긴다.
따라서 몸속의 중금속을 흡착하여 소변이나 땀으로 배설한다.
과일 야채를 씻을 때 소금에 담그면 농약 성분이 제거된다.
대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4년간 김치의 잔류농약성분을 연구 조사했는데 배추를 물로 씻었을 때는 잔류농약이 50%가 남아 있었지만 소금으로 절인 직후 86%가 제거됐고 5일이 지난 후에는 모든 잔류농약이 완전히 없어졌다는 것이다.
농약봉지의 주의사항을 자세히 읽어보면
잘못하여 농약을 먹었을 때는 소금물을 먹여 토하게 하라 라고 쓰여 있다.
소금사우나를 하면 몸에서 역한 냄새가 나면서 중금속과 노폐물이 빠져나온다.
소금이 흡착 배출한 결과다.
암환자들이 드나드는 소금 방에 들어가면 고약한 냄새가 진동하여 견딜 수가 없다. 소금이 암환자의 몸에서 중금속을 빼내어 흡착한 것이다.
중금속이 빠져나가면 어떤 변화가 올까?
중금속이 빠져나가면 면역력이 높아지며 암세포의 사멸이 용이해진다.
네 번째, 소금의 살균력이 활성산소를 줄인다.
소금에는 소독약보다 살균력이 10배 이상 강하다.
감기에 걸리면 소금으로 가글을 한다.
여름에 물고기를 잡아 두면 바로 부패하지만 소금에 절이면 부패를 막을 수가 있다.
모두 소금의 살균력 때문이다.
소금을 섭취하면 이러한 살균력으로 인해 인체에 침입한 세균 바이러스의 활동을 잠재워 과립구의 증가를 억제시킬 수가 있다.
결과적으로 활성산소의 증가를 막아 혈액의 탁해짐을 피할 수가 있다.
즉, 산소결핍현상을 해소하여 암 유발을 막는다.
다섯 번째, 소금은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무기다.
항체 없이도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NK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할 때 퍼포린이라는 물질을 분비해 암세포를 공격하는데 이때 암세포에 염분을 주입해 터트린다.
인체에 염분이 넉넉해야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것이다.
서울대 체력과학연구소의 곽충실 교수는 된장의 항암성을 밝혔는데 분석해 본 결과 콩이나 배추 등 재료에는 항암성이 없었지만 된장에는 암세포를 제거하는 효능이 뛰어난다고 밝혔다.
그 효능의 근원은 바로 소금이다.
결론적으로 소금은 산소전달을 통해 암의 유발을 막고 면역력을 높여 암세포를 공격하여 암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된장, 김치의 항암성의 근원은 바로 소금인데 소금이 나쁘다며(특히 고혈압) 김치, 된장도 먹지 말라고 주장하는 전문가가 있는데 이 역시 고혈압을 몰라서 나온 판단 오류다.
소금에 대한 오해는 소금이 끌어당긴 간수, 중금속, 가스를 소금으로 오해한 것 때문이다. 하지만 소금에 흡착된 중금속은 소금이 아니고 이물질이다.
만일 소금에 붙어있는 중금속을 소금과 동일체로 판단하고 적게 먹어야 한다고 한다면 이는 마치 과일에 잔류농약이 붙어있다 하여 과일을 조금만 섭취하라고 하는 것과 같다.
물이 오염되었다고 물을 조금만 섭취하라고 말하지 않는다. 공기가 오염되었다고 숨을 조금만 쉬라고 하지 않는다. 양자화된 물(양자수)을 충분히 마시라고 하고 맑은 공기를 충분히 들이쉬라고 말한다.
소금도 순수 좋은 소금을 적당하게 섭취해야 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다.
하루 물 섭취량은 2리터이고 0.9% 생리식염수가 되려면 25g이 필요하다.
체력이 쇠진한 환자에게 꽂아주는 링거이 바로 0.9% 생리식염수이다.
'식단 및 식습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파로 감기와 폐렴을 치유한다는 사실 (58) | 2023.10.08 |
---|---|
어머니의 밥상이 그립습니다 (46) | 2023.10.05 |
달걀 섭취 시 생기는 놀라운 신체 변화 (51) | 2023.10.03 |
양파의 뛰어난 54가지 효능 소개 (39) | 2023.09.30 |
송편은 한국의 전통 음식, 그 유래와 역사 소개 (2) | 2023.09.29 |